분류 전체보기 72

[2010] 17세기 중국과 조선의 소빙기 기후변동

[논문제요] 역사연구에서 소빙기(Little Ice Age)의 중요성은 지구적인 “동시성”에 있다. 지금까지 중국과 한국의 소빙기를 비교하는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동아시아 3국의 소빙기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었음에도 구체적인 시기구분에 대한 인식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이..

[2009] 기후, 바다, 어업분쟁: 1882~1910년간 조청어업분쟁의 전개

[국문초록] 朝․淸어업분쟁은 230여 년(1684~1910)의 장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1882년에서 1910년까지 30여 년간을 살펴보았다. 이 기간은 동아시아 3국이 근대세계로 전환되는 격동의 시기였다. 조선의 해양을 둘러싼 淸日간의 어업경쟁도 그만큼 극심했다. 1882년 체결된 朝淸..

[2009] 17세기 강남의 재해와 구황론

[맺음말] 최근 제프리 파커(Geoffrey Parker)는 17세기 중반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에서 동시적으로 국가체제의 붕괴가 있었음을 재조명하면서, 당시의 위기를 “지구적 위기(Global Crisis)”로 표현하고 있다. 명청교체는 小氷期로 인한 “지구적 위기”의 일부분이었다. 본고는 이러..

[2008] 19세기 조선과 청의 어업분쟁: 1882년 '조청무역장정' 체결 이전까지

[맺음말]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동아시아의 해양은 국제적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해역을 둘러싼 어업분쟁도 그 중의 하나이다. 동아시아 해양에서 어업분쟁은 현재적인 문제로 인식되기 쉽다. 그러나 전근대사회에서 어업분쟁이 외교적으로 중요한 사안이었던 적도 있었다. 조..

[2007] 17세기 강남의 재해와 민간신앙: 유맹장신앙의 전변을 중심으로

[국문제요] 본고는 대표적인 驅蝗神인 劉猛將信仰을 중심으로 17세기 江南의 災害와 民間信仰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劉猛將이 처음부터 驅蝗神으로 출발했던 것은 아니다. 劉猛將은 본래 殉難과 戰爭의 신..

[2005] 명말 강남의 기후와 숭정 14년의 기황

[맺음말] 이 글은 ‘소빙기(Little Ice Age)’라는 세계적인 기후현상과 明朝의 멸망과의 관련을 밝히기 위한 한 시도이다. 小氷期의 자연재해가 명조의 멸망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것은 이미 몇몇 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바 있다. 그럼에도 小氷期의 기후현상과 자연재해와의 관련성은 ..

[2001] 명청시기 강남의 기후변동과 동정감귤

[맺음말] 본고에서는 동정산의 개발이 어떠한 조건들 속에서 이루어지고, 또 변형되고 있는가 하는 점과 그 과정에서 기후는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가 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서 명청시기 강남에서 기후변동의 구체상에 대해서 접근해보고자 하였다. 동정산의 ‘孤..

[2014] 청어, 대구, 명태: 소빙기와 한류성어류의 박물학

[국문초록] 21세기 오늘날,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가 진행되면서 지구적인 환경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가장 민감한 것이 바다이다. 우리의 바다에는 한류성어종이 점차로 사라지고 난류성 어종이 확대되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보다 훨씬 한랭했던 소빙기 동안 동아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