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mate & History/[동아시아 기후역사연구실]

동아시아 기후역사 연구

블루트레인 2013. 3. 18. 00:07

 

 

지식은 언어의 바벨탑을 쌓아 가는 것이다.

지적 궤적을 따라가는 것은 나의 힘겨웠던 발걸음을 확인하는 길이다.

고산앙지(高山仰止), 큰 산 우러러 걷다보면,

알고 있다. 언젠가 그 길이 내 길이 될 것임을

 


[2015] 소빙기의 성찬: 근세 동아시아의 청어어업 (역사와 경계 96, 2015)

 


 


[2015] 소빙기의 성찬: 근세 동아시아의 청어어업(효원사학회 기획발표) 

 

 

 

 

 

 

[2014] 청어, 대구, 명태: 소빙기와 한류성어류의 박물학(대구사학 115) 

 

 

 

 

[2014] 동아시아 해양어류지식의 역사(명청사연구 41) 

 

 

 

 

[2014] 명말청초의 황정과 왕조교체(중국사연구 89) 

 

 

 

 

[2014] 청미, 여역, 대보단: 강희제의 해운진제와 조선의 반응(역사학연구 53)   

 

 

 

 

[2014] '귤화위지'와 중국의 기후변동(동북아문화연구 38)  

 

 

 

 

[2014] 온난화와 청어: 천, 해, 인의 관점에서(역사와 경계 90)  

 

 

 

 

[2013] 소빙기와 청어: 천, 해, 인의 관점에서(역사와 경계 89) 

 

 

 

 

 

[2012]17세기 중국과 조선의 기근과 국제적 곡물유통

 

 

 

 

[2011] 17세기 중국과 조선의 재해와 기근

 

 

 

 

[2011] 소빙기와 청어: 천해인의 관점에서

 

 

 

 

 

[2010] 17세기 중국과 조선의 소빙기 기후변동

 

 

 

 

[2009] 기후, 바다, 어업분쟁

 

   

 

 

[2009] 17세기 강남의 재해와 구황론

 

 

 

 

[2008] 19세기 조선과 청의 어업분쟁

 

 

 

 

 

[2007] 17세기 강남의 재해와 민간신앙

 

 

 

 

[2007] 17세기 강남의 소빙기 기후

 

 

 

 

[2007] 17세기 강남의 기후와 농업

 

 

 

 

[2005] 명말 강남의 기후와 숭정 14년의 기황

 

 

 

 

[2001] 명청시기 강남의 기후변동과 동정감귤